인도의 정수기 시장동향 (2019)
- 정수기 보급률은 매우 낮으나 인구수 등 성장 가능성 매우 커 -
- 진보된 기술을 가진 국내 정수기 기업에 매력적인 시장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정수기(HS Code: 8421.21)
□ 정수기 시장 개요
ㅇ 정수기 시장 정의 및 규모
- 해당 뉴스에서 다루는 정수기는 물리적 장벽,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공정을 거쳐 물의 오염도를 줄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장치를 뜻하며, 산업용 정수기는 제외
- 정수기 시장은 회계연도 기준 2018년에 미화 5억9600만 달러로 추산되며, 현재 전체 인구 중 4%만이 정수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중산층의 증가 및 가처분 소득 증가로 정수기 같은 제품의 구입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
ㅇ 정수기 시장의 세분화
- 현재 시장은 역삼투정수기, UV정수기, 중력정수기, 필터 및 기타(비전기 정수기 포함)정수기 4개의 세분 시장으로 나눌 수 있음.
정수기 유형별 시장점유율, 2018년 기준
정수기 유형 |
수익기여율 |
RO 정수기 |
53% |
중력정수기 |
25% |
UV정수기 |
14% |
필터 및 기타 정수기 |
8% |
자료: Frost and Sullivan report
- 최종 수요자에 따른 세분시장은 가정용, 상업용, 정부용 그리고 기타로 나눌 수 있음.
최종 수요자 별 시장점유율, 2018년 기준
최종 수요자 유형 |
시장점유율 |
가정용 |
55% |
상업용 |
15% |
정부용 |
17% |
기타 |
13% |
자료: Frost and Sullivan report
ㅇ 정수기 시장의 예측
- 인도의 여러 지역의 음용수 수질이 좋지 않기 때문에 현재 4%를 기록하는 보급률이 향후 5년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정수기 시장은 회계연도 기준 2018년부터 2023년 사이에 매출액 기준으로 14.6%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며 동시에 2등급, 3등급 도시의 정수기 판매 증가로 판매대수 기준 15.6% 높은 연평균 성장을 기대
매출액 및 판매대수 기준의 정수기 시장 예측
회계연도 |
매출액(US$ 백만) |
판매량(백만대) |
2018 |
596 |
3.68 |
2019 |
683 |
4.28 |
2020 |
783 |
4.98 |
2021 |
897 |
5.73 |
2022 |
1028 |
6.61 |
2023 |
1178 |
7.60 |
자료: Frost and Sullivan report
- 매출액과 판매대수 기준으로 시장 예측 결과를 통해 정수기 가격이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기대되며, 동시에 이러한 가격 하락은 정수기 부문에 더 많은 업체들이 진입해 가격 경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됨.
ㅇ 정수기 시장의 추세
- 기술적인 측면에서, 정수기 시장은 현재 R.O 기술(역삼투)의 도입 이후 획기적인 기술 발전을 이뤄내지 못한 상황이며, 이는 소규모 업체들의 시장 참여도를 증가시킴
- 상위 3개 브랜드인 Eureka Forbes, Kent RO Systems 및 Hindustan Unilever가 현재 시장점유율 63%를 나눠 보유 중
- 지역적인 측면에서 인도의 서부지역(47%)과 북부지역(33%)이 정수기의 효능에 대한 높은 인식도가 뒷받침된 인도 최대의 시장
- 남부와 동부지역은 병이나 캔에 담긴 물에 대한 선호도,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 수준으로 인해 시장 성장성 측면에서는 뒤떨어져있음.
ㅇ 정수기 시장의 한계점
- 소비자는 수돗물보다 생수 같이 포장된 용기에 든 물을 더욱 신뢰하고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포장된 물이 정수된 물보다 위생적이라고 인식
- 중산층 및 하층 소비자는 가정용, 상업용 정수기의 설치 및 유지 보수는 높은 비용을 발생시킨다고 생각
- 도시 외곽 및 농촌 지역까지 연결되는 유통채널(소매업체 포함)이 부족하며, 온라인 유통 역시 인력 부족으로 한계가 있음.
- 정수기의 효능과 오염된 물 음용으로 생기는 건강문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
ㅇ 정수기 시장의 가능성
- 인도 주요 지역의 지하수 수질 저하 및 부재는 소비자들이 정수기를 구매하는 주된 요인이며, 근 미래에 개선되기 힘듦.
- 웨스트 벵갈, 우타르 프라데시, 아쌈, 자르칸드 지역은 지하수에서는 심각한 비소 오염이 관측됐고 인도 19개 주에서 물과 지하수의 불소 오염이 보고된 바 있음.
- 지방 정부에서 관리해 공급되는 물의 품질은 매우 떨어지며, 일례로 델리에서 채취한 물 샘플의 70%가 오염 테스트에 양성 반응을 보인 바 있음
- 수처리 설비에서 가정에 공급되는 물은 추가 정화가 필수적이기에 정수기에 대한 수요가 발생하며, 정부 주도 하 정수기 보급률 확대에 나설 것
□ 국가별 수입현황 및 한국 제품 대인도 수출현황
ㅇ 인도 정수기 수요의 증가
- 2018년 기준, HS Code 8421.21의 수입액은 전년대비 34.63% 증가
- 한국으로부터 수입액 역시 109.08%로 크게 증가
ㅇ 수입 추세
- 2018년 HS Code 8421.21의 총수입액은 1억300만 달러
- 주요 수입원은 중국, 이탈리아 및 미국으로 총 42%의 점유율을 통제하고 있음.
- 대한민국의 대인도 수출액은 약 500만 달러 수준이며 8위에 위치
인도의 국가별 정수기 수입현황(HS Code 8421.21기준, 2019년 1분기)
인도의 국가별 정수기 수입현황(HS Code 8421.21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
국가 |
수입액 |
점유율 |
17-18년 |
||||
2016 |
2017 |
2018 |
2016 |
2017 |
2018 |
|||
0 |
전 세계 |
91 |
76 |
103 |
100 |
100 |
100 |
34.63 |
1 |
중국 |
12 |
10 |
20 |
13.33 |
12.79 |
18.97 |
99.77 |
2 |
이탈리아 |
9 |
6 |
13 |
9.4 |
7.43 |
13.01 |
135.82 |
3 |
미국 |
11 |
9 |
10 |
11.82 |
11.17 |
10.14 |
22.22 |
4 |
독일 |
14 |
12 |
10 |
15.53 |
15.42 |
9.37 |
-18.17 |
5 |
일본 |
8 |
11 |
10 |
9.02 |
14.82 |
9.25 |
-15.93 |
6 |
프랑스 |
4 |
4 |
6 |
4.72 |
5.83 |
6.07 |
40.2 |
7 |
홍콩 |
0 |
0 |
6 |
0.11 |
0.08 |
5.79 |
9639.79 |
8 |
대한민국 |
2 |
2 |
5 |
1.88 |
3.03 |
4.71 |
109.08 |
9 |
싱가포르 |
3 |
3 |
4 |
3.64 |
3.43 |
3.42 |
34.2 |
10 |
UAE |
4 |
2 |
3 |
4.5 |
3.12 |
3.33 |
44.06 |
주: 해당 Hs Code로 분류된 모든 상품을 포함한 통계
자료: DGCI&S, Ministry of Commerce
□ 경쟁 동향
ㅇ 시장점유율 상위 3개사 분석
- Euureka Forbes는 회계연도 기준, 2018년에 미화 1906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
- 해당 회사는 인도에 처음으로 정수기를 도입했으며, 시장에서 좋은 브랜드 평판을 보유
- Kent RO는 2018년 크리켓 리그 후원을 포함해 활발한 마케팅 캠페인 활동을 통해 역삼투정수기 부문에서 브랜드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음.
- 해당 회사는 인도에 역삼투 기술을 처음으로 도입했으며, 역삼투 정수기 부문 37%의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미뤄보아 역삼투정수기 시장 개척이 매출 증진에 상당 부분 기여
- Hindustan Unilever Ltd는 화장품, 비누 등으로 소비재 시장에서 이미 잘 알려진 기업으로 현재 정수기 부문 매출액과 판매량을 확대하기 위해 이러한 인지도를 활용하고 있음.
- 이러한 전략으로 2008년에 시장에 진입한 이후 3번째로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는데 성공
ㅇ 시장 경쟁 구조 분석
- 현재 정수기 시장에는 많은 기업이 진입한 상황이지만 해당 기업들 간의 경쟁보다는 생수 제품과의 경쟁에 더욱 매진하고 상황
- 중소 업체들의 시장 진입 역시, 시장을 더욱 경쟁시장으로 이끄는데 영향을 미침.
인도 정수기 시장 경쟁 구조 분석(회계연도 2018 기준)
시장 내 주요 업체 수 |
매출액 미화 430만 달러 이상의 회사는 14개 |
경쟁요인 |
외관, 가격, 브랜드 평판, 서비스 가용성, AS비용, 기타 부가 기술(LED 조명, 블루투스 기능 등) |
주요 최종 사용자 그룹 |
가정용, 상업용, 정부용, 기타 |
주요 시장 지배업체 |
Eureka Forbes, Kent RO Systems, Hindustan Unilever Ltd |
상위 3개사의 시장점유율 |
63% |
기타 주요 업체 |
Carrier Midea, Tata Chemicals, Nasaka, AO Smith, Havells, Godrej, Whirlpool, Panasonic, Livpure, LG |
유통구조 |
직접 판매, 유통, 대리점, 소매 및 온라인 판매 |
정수기 시장 상위 8개사의 매출액, 회계연도 2018 기준
회사명 |
매출액(US$ 백만) |
Eureka Forbes |
191 |
Kent RO Systems Ltd |
129 |
Hindustan Unilever Ltd |
56 |
Carrier Midea |
7 |
Tata Chemicals Ltd |
6 |
Blue Star Ltd |
6 |
Nasaka (Okaya Power) |
6 |
AO Smith |
5 |
기타 |
191 |
종합 |
596 |
자료: Frost and Sullivan report
인도 정수기 시장 주요 기업
연번 |
회사명 |
소재지 |
설립연도 |
사업개시연도 |
정수기 브랜드 |
주요 정수기 품목 |
1 |
Eureka Forbes |
Mumbai |
1982 |
1982 |
Aquaguard 등 |
역삼투 정수기, 중력정수기, UV정수기, 융합형(역삼투+UV) 정수기 등 |
2 |
Kent RO Systems Ltd |
Noida |
1999 |
1999 |
Kent |
역삼투 정수기, 중력정수기, UV정수기, 융합형(역삼투+UV) 정수기 등 |
3 |
Hindustan Unilever Ltd (Pureit) |
Mumbai |
1933 |
2008 |
Pureit |
역삼투 정수기, 중력정수기, UV정수기, 융합형(역삼투+UV) 정수기 등 |
4 |
Carrier Midea India Private Limited |
Gurgaon |
2012 |
2017 |
Carrier |
역삼투 정수기, UV 정수기, 융합형 정수기 |
5 |
Tata Chemicals Ltd (Tata Swach) |
Mumbai |
1939 |
2009 |
Tata swach |
UV정수기 |
6 |
Blue Star Ltd |
Mumbai |
1943 |
2016 |
Stella, Adora 등 |
역삼투 정수기, 중력정수기, UV정수기, 융합형(역삼투+UV) 정수기 |
7 |
Nasaka (Okaya Power) |
New Delhi |
1987 |
2010 |
Lotus, Cosmos 등 |
역삼투 정수기 |
8 |
AO Smith India |
Karnataka |
2006 |
2012 |
AO smith |
역삼투 정수기, UV 정수기, 융합형(역삼투+UV) 정수기 |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 유통구조, 관세, 필요 인증 및 규정
ㅇ 유통구조
인도 정수기 시장 유통채널 도식
자료: Frost and Sullivan report
- 상기 도식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정수기의 분배는 직접 판매, 유통업자를 통한 판매, 온라인 판매 세 가지로 구분됨.
- 유통업자를 통한 판매가 67%, 직접 판매는 24%, 온라인 판매는 9%의 비율로 판매되고 있음.
- OEM 공급업체들은 정수기 제조 후 직접 판매하거나 혹은 유통업체를 통해 유통
- 온라인 채널을 통한 판매는 개입되는 중간상의 수가 적어 제품 가격이 낮아지는 것이 확인됐음
ㅇ 관세
정수기 CEPA 적용여부 및 특혜세율
수입국 |
FTA 해당 여부 |
특혜세율 유/무 |
기본관세율(%) |
총 세율(%) |
대한민국 |
해당 |
유 |
5 |
24.49 |
중국 |
미해당 |
무 |
7.5 |
27.735 |
이탈리아 |
협정 없음 |
무 |
7.5 |
27.735 |
미국 |
협정 없음 |
무 |
7.5 |
27.735 |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주요 수입국별 관세구조 및 적용세율
자료: http://www.indiantradeportal.in
관세 계산 구조
수입국 |
구분 |
세율 |
공식 |
최종세액 |
대한민국 |
과세표준(AV) |
- |
100 |
|
기본관세율(BCD) |
5% |
5% X (AV) |
5 |
|
사회복지세(SWS) |
10% |
10% X (BCD) |
0.5 |
|
수입부가세(IGST) |
18% |
18% X (AV+BCD+SWS) |
18.99 |
|
총세액 |
- |
BCD+SWS+IGST |
24.49 |
|
중국 등 |
과세표준(AV) |
- |
100 |
|
기본관세율(BCD) |
8% |
7.5% X (AV) |
7.5 |
|
사회복지세(SWS) |
10% |
10% X (BCD) |
0.75 |
|
수입부가세(IGST) |
18% |
18% X (AV+BCD+SWS) |
19.485 |
|
총세액 |
- |
BCD+SWS+IGST |
27.735 |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ㅇ 필수 인증, 등록 및 관련 규정
- 수입 정수기에 대해 의무적으로 부과되는 인증, 등록 없으며 관련 규정 존재하지 않음.
- 인도 정부에서 수입 정수기에 관련 의무 부과 계획에 대해 현재까지 공표한 바 없음.
□ 시사점
ㅇ 인도 정수기 시장의 기회
- 현재 인도 내 정수기의 보급률은 매우 낮으나 인도의 수질 악화, 정부의 다양한 사업계획 등으로 인해 정수기 시장의 판매량은 양호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
- 현재 3개의 회사가 63%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기에 시장의 분열수준은 높지 않은 편
- 정수기는 상엉용 또는 관공서보다는 주거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음.
- 수입정수기는 주로 취급하는 IVY International Dropa Unit의 대표인 Prateek Sindhwani에 따르면 인도 내 부유층만이 브랜드를 의식하며 구매하는 패턴을 보임.
ㅇ 인도 정수기 시장 진출 전략
- 경쟁이 비교적 치열하지 않은 시장으로 낮은 보급률을 고려했을 시 신제품을 출시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보유한 시장임.
- 역삼투(RO)타입의 정수기는 현재 인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유형의 품목이며 Frost and Sullivan의 보고서에 따르면 RO기술 이후, 동 분야에서 주요 기술 혁신은 발생하지 않은 상황임.
- 이는 한국 기업에 기술적으로 진보된 정수기를 시장에 도입할 수 있는 좋은 기회
- 한-인도 간 맺어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에 의거해 한국산 제품에 특혜 세율이 적용되기에 수입 정수기 카테고리에서의 경쟁력을 보완해줄 것으로 예상됨.
자료: KOTRA 뭄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