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새로운 국가교육정책(National Education Policy)과 그 영향
- 외국 대학의 국내시장 참여 등을 허용 -
- 30여년 만에 나오는 새로운 교육정책, 향후 교육시장에 심대한 영향을 끼칠 듯 -
서론
인도의 모디 정부는 지난 7월 31일 국무회의를 통해 인도의 국가교육정책(National Education Policy, NEP)을 심의하고 승인했다. 정부가 국가교육정책을 발표하는 것은 놀라운 일은 아니지만, 금번의 정책 발표는 인도에서 나름 커다란 뉴스였다. 이번 교육정책은 인도 독립 이후 세 번째로 나오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30년에 한번씩 있는 사건인 셈이다. 금번의 정책은 1986년에 만들어진 교육정책(1992년 일부 수정)을 대체하는 것이다. 이는 인도 정부와 국민이 심사숙고했다는 말도 될 수 있고, 인도 내에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있다 보니 전체적인 합의를 이루기 어려웠다는 뜻으로도 받아들여질 수도 있을 것이다.
금번 교육정책은 현 집권당 BJP의 2014년 선거공약이기도 했으며, 2015년 1월 내각 내에 위원회가 구성되어 2019년에서야 초안을 완성하여 정부에 제출한 후, 인적자원개발부(Ministr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MHRD)가 이를 발표하여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기간을 거쳐 오늘날에 이르렀다. 일부에서는 언어 교육 정책 면에서 아직도 상당한 논란이 남아 있기도 하다. 이 자리에서는 몇 가지 바뀐 점들을 중심으로 교육정책을 소개하고, 그것이 인도 교육 시장에 끼치는 영향을 짚어보고자 한다.
K12 과정의 변화
1) 포용적 보편 교육의 천명
금번 교육정책에서는 2030년까지 3세에서 18세에 이르는 아동과 청소년 100%를 대상으로 중등교육까지 의무교육을 실시할 것을 천명하고 있다. 현재 인도에서는 30%에 이르는 학생이 10학년 이후 학업을 중단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숫자로만 3,200만 명에 달하는 엄청난 규모이다.
단, 이들을 모두 12년 동안 학교를 필수로 다니게 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더욱 유연한 학제를 만들어 학교 시스템으로의 입학, 편입, 졸업과 관련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겠다는 이야기이다. 대학교 역시 4년제 한 가지만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1년 과정, 2년 과정, 3년 과정 등 다양한 졸업 옵션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학업을 중간에 포기하는 학생들의 다수가 사회경제적으로 낙후된 계층 및 여성에게서 나오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인도정부에서는 특별교육지대, 성 평등펀드, 개방/원격 교육 등의 제도를 통해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 유아기 교육을 고려한 학년제
또 커다란 변화 사항으로는 과거 K12 교육을 대표하던 ‘10+2’ 학년제가 ‘5+3+3+4’ 학년제로 바뀐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학년이 과거보다 더 많이 늘어나게 된 것은 입학 전 과정(preschool) 3년을 포함해 넣었기 때문이다. 3세부터 시작되는 시기가 장래의 정신 및 인지능력 발달에 매우 중요한 때라는 세계적인 추세를 반영한 내용이다.
인도 새로운 교육정책에 의한 학년제
구분 |
학년 |
연령층 |
수업내용 |
기초단계 |
입학전 3년, 정규학교 1, 2학년 |
3-8세 |
액티비티 기반 학습 |
준비단계 |
3-5학년 |
8-11세 |
말하기, 읽기, 체육, 언어, 예술, 과학 및 수학 |
중등단계 |
6-8학년 |
11-14세 |
수학, 과학, 사회과학 및 인문과학 등 |
2차단계 |
9-12학년 |
14-19세 |
비판적 사고 등 심화과정과 복합학제적 수업 |
자료원: 첸나이 무역관 정리
학습 내용 역시 기초 단계에 해당하는 3-8세까지는 놀이나 액티비티에 기반을 둔 학습을 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그 이후의 나이에도 암기보다는 비판적 사고와 전 세계의 추세인 다수 학과의 융복합을 추구해 나간다는 이야기이다.
인도의 중앙정부 설립 공립학교 Kendriya Vidyalaya 전경
주: 중앙정부에서 공무원자녀를 위해 설립한 학교 체인으로 인도 및 해외에 설치, 1학년부터 12학년까지 과정을 갖추고 있다.
자료원: 첸나이 무역관
인도의 주정부 설립 중고등학교
주: 인도의 교육은 헌법에 의해 중앙정부와 주정부가 공동으로 관여하는 병행 과제(concurrent list)이다. 중앙정보 못지 않게 주정부도 교육에서 목소리가 크다.
자료원: 첸나이 무역관
3) 보다 전체적인 시점에서 역량 구축에 초점을 맞춘 교육 지향
인도에서 2차교육(Secondary Education, 우리나라의 중고등학교에 해당)기간은 학생 연령 14-18세, 즉 9학년부터 12학년에 이르는 기간이다. 인도 학생의 관점에서 2차 교육시기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10학년과 12학년 중에 치르는 학력 인증 일제고사(인도에서는 보통 Class 10, Class 12 Board Exam이라고 지칭)이다. 이 때의 성적은 앞으로의 진학, 직업선택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인도의 학생들의 2차 교육기간은 대부분 이 시험을 준비하는 데 소비된다. 그러나 시험이 이것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다. 대학을 진학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입학시험에 응시해야 한다. 때문에 인도의 2차 교육기간은 전체적인 인간으로서의 덕성과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기간이 아니라 시험을 위한 학습 기간으로 소비되는 경향이 짙었다.
이번 정부에서 발표한 새 교육정책에서는 앞으로 학력 인증 일제고사 시험을 보다 용이하게 내고 1년에 두 차례의 응시기회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방침이다. 정부가 이와 같은 방향을 설정한 데에는 학력 인증에 너무 많은 학생들의 에너지가 투입되고 있다는 반성이 있기 때문이다. 학습 내용 역시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고 실험을 통한 지식의 도출 과정을 중시해 나가겠다는 것이 정부의 포부다.
미래형 역량 구축을 위한 대학교육
인도의 대학진학률은 2018년 26.3%였다. 정부는 2035년까지 대학 정원 3,500만 명을 늘려서 입학률을 50%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학부 과정에서도 유연한 커리큘럼을 구성하여 복수의 졸업 옵션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학부제도에서 다양한 복수학제 전공 가능성과 더불어 복수의 졸업 옵션을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 즉 1년 학업 이후에는 수료증(certificate), 2년 학업 이후 졸업증(diploma), 3년 프로그램을 종료 후에는 학사학위증(Bachelor degree)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직업 시장에서도 일정한 자격을 갖춘 인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직장을 다니면서도 개방대학, 원격 수업 등을 통한 학업 지속의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1) 대학 간의 통폐합을 통한 종합대학 양성
현재 인도 내 대학의 수는 4만 개에 달하고 있다. 그 중 96%가 등록재학생이 3,000명 미만이다. 단과대학(college) 1개당 평균등록자 수는 693명에 지나지 않는다. 한마디로 영세 소규모 대학이 너무 많은 것이다. 이에 따라 전공과 학습의 파편화가 이뤄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이들 소규모 대학이 모두 질이 낮은 것은 아니다. 예컨대 IIT(인도 공과대학), IIM(인도 경영대학), IIS(인도과학대학) 등은 인도의 명문대학들 역시 규모 자체는 아주 커다랗지 않다. 이들은 전문화를 통해서 인도 교육의 주종을 이뤄왔다. 인도 대학의 45%가 단과(single major) 만을 가르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대학교육의 소규모화는 현대 산업과 경제의 주된 흐름인 융합과 통섭에 방해가 되고 있다. 인도의 대학교가 과도한 전문화를 추구하다 보니,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학습의 폭도 작아지게 된다. 때문에 인도 정부에서는 미국이나 영국에서 볼 수 있는 복합 학제 교육 및 연구대학(Multidisciplinary Education and Research University, MERU)을 만들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인도는 영국의 영향을 받아서 다수의 독립 단과대학(College)이 하나의 대학을 구성하는 가맹제도(Affiliation)가 존속해 왔다. 영국의 Kings College, Queen Mary University 등등의 독립적인 대학들이 University College London을 구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이다. 첸나이에 소재한 마드라스대학(University of Madras) 역시 이와 같은 방식으로 Loyola College, Madras Christian College, Presidency College 등의 독립 단과대학(college) 등이 연계되어 있다. 금번에 새로 나온 교육정책대로라면, 각 구성 단과대학은 스스로 독립적인 대학이 되거나 아니면 종합대학(University)의 구성 단과대학이 되어야 한다.
첸나이 소재 마드라스대학교 전경
주: 1857년 첸나이에 설립된 대학교로 2명의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5명의 인도 대통령을 배출한 명문이다. 그러나 국제적으로는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금번 교육정책을 통해 이 같은 상황을 시정코자하는 것이다.
자료원: 첸나이 무역관
2) 대학 접근성 제고
또한 대학교 개방형 원격교육 등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대학입학생의 11%가량(약 400만 명)은 개방형 원격교육을 이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인도 정부의 대학 입학률 제고 등의 조치가 성공적으로 일어나게 된다면 원격교육을 이수하는 수강생도 1,500만 명에 이르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개방대학과 원격교육은 평생교육 체제와도 맞물려 인도 근로자들의 리스킬링과 업스킬링의 창구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교육의 문호를 넓히는 데에는 불가촉 천민이나 하위 계급에 대한 지원도 빼놓을 수 없다. 인도 정부는 이들의 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에 특별교육지역(Special Education Zone)을 설정, 이곳에 입주하는 대학교에 대해서 혜택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을 위한 교육의 장을 넓히려 하고 있다.
3) 대학 국제화
금번 인도교육정책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이기도 하다. 인도 대학이 QS나 US News & World Report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주된 이유 중의 하나는 국제화 정도이다. IIT 와 같이 세계적으로 경쟁력이 높다고 평가되는 대학교 역시 현행 입시제도로는 외국 유학생을 받아들이거나 외국의 교수진을 초빙하기 어렵다. 거기에다가 인도 정부 역시 외국 대학이 인도에 진출하는 것을 막아왔다. 금번 정책에서는 인도 대학의 국제화 뿐만 아니라, 해외 유수대학이 인도 내에 대학을 설립하는 것을 허용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일부 인도의 대학은 외국의 유수대학과 공동 프로그램, 공동 학위인정(dual degree)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는데, 앞으로는 이와 같은 시도가 더욱 많아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타: 직업교육과 교육 디지털화
1) 직업교육 활성화
금번 발표된 교육정책에서 눈에 띄는 주된 키워드 중의 하나가 직업교육이다. 인도 역시 인문계 교육에 대한 선호가 높다 보니 직업교육에 대해서는 수요와 체제가 잘 정비되어 있지 않다. 직업교육이 취약하다 보니 산업 현장에서는 사람은 많은데 정작 쓸 사람이 없다는 이야기가 빈번하게 나왔다.
금번 인도정부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내놓은 방안은 직업교육의 조기화, 복합화이다. 지금까지 주로 직업교육은 11학년부터 시작되었지만, 새 교육과정에서는 5학년부터 시작할 예정이다. 2025년에는 K12과정 및 대학교에서 직업교육 이수자 비중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목적이다. 인문계와 직업고등학교 간은 물론 업계 간의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일찍부터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기술과 직능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을 추진한다는 복안이다. 또한 대학교에서도 이수증(certificate) 등을 활용하여 대학교육과 직업교육 간의 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만들 계획이다.
2) 교육 디지털화
인도에서도 유니콘급의 에듀텍 기업이 나오고 있어서 그런지, 금번 교육정책에서는 유난히 인도교육의 디지털 전환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앞에서도 대학교에서 개방형 원격 교육 추진에서도 보았듯이 이러닝은 인도교육체제의 중요한 일부분이 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바이러스가 기승을 부리는 지금 인도 K12 과정에서도 줌 등을 활용한 원격교육이 대폭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다만, 이번 교육정책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교육 편입, 대학교온라인 원격 교육(online distance learning)을 통한 인도 교육의 포용성 강화 부분이다. 이를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프라가 필요하다. 금번 교육정책에서는 기존의 디지털 학습 자료 및 이러닝 공공 플랫폼(DIKSHA, SWAYAM)의 개선 및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 나아가서 디지털 문제은행 등 온라인 평가/시험 플랫폼 구축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체계적으로 준비해 나가기 위해서 기술에 기반을 둔 학습 영역에서의 정책적 의사결정을 촉진하고 관리감독, 표준 설정 및 전략적 진흥을 위해 독립기관인 국가교육기술포럼(National Educational Technology Forum, NETF) 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 같은 툴들을 바탕으로 향후 교육정책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데이터에 기반을 둔 정책의사결정을 추진해 나간다는 포부이다.
인도 국가교육정책의 시사점
인도는 5-24세 연령층만 5억 명, 등록 학생 인구만 2억 5000만 명에 달하는 교육대국이다. 인도의 교육 시장 규모는2018년 현재 917억 달러, 2019년에는 1,011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또한 IT 서비스업이 발달한 나라 답게 이러닝 부문의 규모는 미국 다음으로 세계2위의 시장규모로 추정된다. (2021년 USD 19.6억, 사용자 950만 명)
이렇게 거대한 교육시장을 하루아침에 바꾸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인도 정부의 의지는 강하다. 교육을 담당하던 인적자원개발부를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로 이름을 바꾼 것도 이와 같은 의지의 표명일 것이다. 그러나 가장 커다란 걸림돌은 중앙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 지방정부가 얼마나 잘 따라주느냐라는 점일 것이다. 남인도 타밀나두주 정부는 중앙정부의 언어 (교육) 정책 등에 대한 반감이 크고, 중앙정부와는 다른 노선을 걷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과제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예산의 확보도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대학 진학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도 더 늘어나야 하고, 교수진도 확충해야 하는데 이에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 이에 인도 정부는 민간부문의 활력과 교육열에 커다란 기대를 하고 있다. 모처럼 해외 대학의 인도시장 진출을 허용하겠다는 것도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인도 교육시장에서 나타나고 있는 가장 커다란 흐름 중의 하나는 프랜차이즈 스쿨의 확대이다. 이것은 정부가 혼자의 힘으로는 교육과 관련된 수요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어느 교육재벌이 나타나서 하루아침에 유수의 학교나 대학을 건립하기도 어렵다. 그렇다 보니 프랜차이즈 학교들이 여기 저기에서 우후죽순처럼 나타나고 있다. 동종업계에서 조금이라도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학교만의 고유한 특장점이 필요하다. 가장 유력한 방법 중의 하나는 외국의 브랜드를 배경으로 국제적인 표준에 따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도 안에서 국제학교 분야가 급속하게 발전하는 이유이다. 앞으로 인도 교육은 이러한 방향으로 더욱 흘러갈 가능성이 높다.
디지털화와 관련해서는 과연 인도 정부가 이를 추진해 나갈 만한 예산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의문을 가져볼 수 있다. 이와 관련 첸나이 인근 힌두스탄대 관계자는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비전은 ‘현재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를 맞이해 이미 실현되고 있는 셈’이라고 밝히고 있다. 인도에서는 금년 3월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봉쇄령이 실시되면서 수업을 모두 원격으로 전환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원격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층이 나뉘어지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과연 수업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가라는 점에서 인도의 학교와 학생들이 예상외로 빠르게 적응을 하더라는 것이다. 관련 담당자는 ‘아마 10년 후에는 인도는 교육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 세계 어디서나 교육 시장은 교육수요계층인 유소년층 인구 규모, 전반적인 교육열, 정부의 진흥 정책 등 3박자를 통해서 이뤄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도는 위의 세가지 면모에서는 세계 어디에 비해서도 뒤지지 않는 유망시장 중의 유망시장이다. 우리 업계도 인도 교육시장 진출을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때이다.
자료 : National Education Policy 2020 (인도 정부)자료 별첨), Impact of National Education Policy 2020 and Opportunities for Stakeholders(KPMG), 현지 언론 및 대학관계자 인터뷰 등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인도 비즈니스 환경 분석 > 인도 교육 산업 & 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코로나19가 불러온 온라인 교육 열풍 2020-06-30 (0) | 2021.04.19 |
---|---|
코로나19가 인도 교육산업에 미치는 영향 2020-06-30 (0) | 2021.04.19 |
디지털로 변화하는 인도의 교육산업 2020-12-16 (0) | 2021.04.19 |
인도의 교육열 어디로 향할까? 2019-06-10 (0) | 2021.04.19 |
인도도 이제 ‘인강’ 열풍 … 교육시장의 새바람 2020-11-09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