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교육열 어디로 향할까?
- 매년 약 15%씩 성장하고 있는 인도 교육 산업 -
- 공교육의 한계와 신기술 도입, 경제적 여건에 따른 디지털 교육의 확대 트렌드 주목 필요 -
□ 인도의 교육 산업 현황
ㅇ 규모
- 인도의 교육 시장은 지난 5년간 약 15%의 고성장을 기록했으며 전체 시장 규모는 2018년 1429억 달러에 육박함. 특히 인도는 3~23세 인구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가로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고 특유의 교육열로 인해 연관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인도 교육 시장 규모 (2013-2018)
(단위: US$ 백만)
자료: Euromonitor
ㅇ 구조
- 인도의 교육산업은 크게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구분되며 공공부문의 경우, 대부분 정부보조금과 등록금으로 운영되고 있음. 민간부문의 경우, 교육 프랜차이즈 모델이 발달해있으며 유아원, K12 학교, 사설학원, 직업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민간투자가 활성화돼 있음.
인도 교육 구조
주: 음영이 들어간 부문이 민간투자(프랜차이즈) 활성화 분야
자료: KOTRA 첸나이 무역관 조사자료
ㅇ 성장 동인
- 인도에서 교육은 암묵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카스트 제도 속에서 계급을 뛰어넘을 수 있는 주요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음. 높은 교육을 통해 고소득 직업을 갖거나 해외근무를 통해 현재의 계급이나 환경을 벗어나려는 열망이 인도 교육 시장의 주요 성장 동인임.
- 이와 더불어 최근의 높은 현지 실업률은 졸업자들의 재교육 등 성인 교육 시장 성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
인도 교육산업 부문별 주요 성장 동인
자료: CARE Ratings
□ 인도 교육 트렌드
ㅇ 교육산업 전반의 흐름
- (수수료 절감) 인도 대부분의 여행사는 중간 관리비용 절감을 위해 오프라인 여행사 및 지점 운영보다는 아닌 온라인과 모바일을 이용한 예약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항공사 역시 고객을 대상으로 한 할인 프로그램을 운영해 중간 거래 수수료를 줄이려는 노력을 강구하고 있음. 이는 극도로 가격에 민감한 인도 소비 패턴을 반영한 현상의 하나임.
- (밀레니얼 세대) 해외시장조사 전문기관 유료모니터의 보고서에 따르면 1975~2000년 사이에 태어난 밀레니얼 세대의 여행 빈도 수가 기존 세대에 비해 높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한 소비 그룹이 향후 인도 관광산업의 주 고객이 될 것으로 보고 있음.
ㅇ 유아원(Preschool)
- 1~3세 연령대(인도 인구의 약 4%)의 영유아 교육기관으로 주로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활성화
- 도시화 확대와 여성의 사회진출 및 가처분 소득 증대가 진행되면서 해당 부문은 앞으로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됨. 특히 조기교육의 중요성이 인도 부모들에게 인식되면서 교육의 품질과 커리큘럼에 대한 수요도 점증하고 있음.
주요 진출 기업
자료: Franchise India Web
ㅇ 초·중·고등(K-12) 정규학교 과정
- K-12과정은 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는 4~17세 연령대 학생을 교육하는 기관으로 인도에서는 전반적으로 공립, 사립·정부 지원, 순수 사립 학교로 구분됨.
- 해당 과정은 인도 정부 규제에 의해 ‘비영리’로만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2017년 현재 약 76.2%가 공립으로 운영되는 등 공립부문이 과반 이상
- 사립학교들의 경우, 인도 교육권리법(Right To Education Act, RTE)에 의거해 등록 학생의 25%를 사회취약부문에서 모집하고 이들에게 무상교육을 제공해야 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의무를 부담해야 함.
- 그럼에도 불구 최근에는 민간 기업, 종교단체 등이 ‘재단’(trust·society) 구성을 통해서 민간학교 설립 및 운영에 참여하는 경우가 증가 중
· 인도 K-12 과정 사립학교 비중: (2007) 18.9% → (2017) 23.8%
ㅇ 사설 학원·직업 교육
- 인도의 경우 높은 교육열 및 입시경쟁으로 인해 사설학원이 고도로 발달돼 있으며 수강과목의 수도 상당히 다양
- 해당 부문은 크게 중고등학교 및 대학 학습을 보충하는 보습학원, 전문직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전문학원, 유명대학(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등)이나 의과대학 진학을 전문적으로 지도하는 입시학원으로 분류됨.
인도 사설학원의 부류
자료: CARE Ratings
- 당초에는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한 자영업 모델이 주종을 이뤘지만 브랜드, 강의 노하우, 커리큘럼 지식 등으로 무장한 프랜차이즈형 비즈니스 모델이 확산되는 중
- 최근 인도 통계청(NSSO)의 서베이에 따르면 인도 전체 학생의 26% 가량이 사설학원의 수강을 받고 있으며, 졸업생의 경우에도 상당수가 수강 중
학급별 학원 수강생 비중
자료: 인도 통계청
- 특히 인도의 ICT 기술에 기반한 서비스 수출이 늘어나면서 정부가 2004년 ICT at Schools 정책, Sarva Shiksha Abhiyan 정책 등을 통해 ICT 교육을 적극적으로 장려 중
- 이는 단순한 수강과목 개설, 확대뿐만 아니라 ICT 기술을 활용한 웹기반 교육 콘텐츠 확충, 위성통신·인터넷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포럼 등 이러닝·에듀테크를 발전시키는 효과도 야기
※ 사설 학원·직업 교육분야 성공사례: Aptech
ㅇ 기업 개요
자료: Moneycontrol, Franchise India, Aptech
ㅇ 성장 전략 - (표준화된 프랜차이즈 시스템 구축) 서비스 품질을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사전 구축함으로써 가맹 사업 발판 마련. 직영 센터를 설립해 가맹점이 같은 시스템을 운영토록 하며 회계 감사, 수업 자료 관리, 교사 교육 등을 실시함. 가맹점의 사업 계획 작성, 입지 선정, 인테리어, 장비 구매 등을 지원해 안정적인 운영을 뒷받침 - (엄격한 가맹점주 선별 기준 적용) 가장 적합한 가맹점주를 선정함으로써 본사에 대한 충성도와 가맹 사업의 지속성을 높임. 가맹점주는 높은 투자 수익성, 적합한 입지 조건, 교육에 대한 열의 등 약 40가지의 기준을 만족해야 만 선정될 수 있음. - (브랜드와 프랜차이즈 방식의 다양화) 지역별로 서로 다른 시장 환경과 제도를 고려해 브랜드와 프랜차이즈 방식을 다양화함. 컴퓨터 교육, 애니메이션 교육, 재무 관리 교육 등 다양한 영역으로 브랜드를 확장해 지역 수요에 맞는 교육이 이뤄지도록 함. 마스터 프랜차이즈, 합작 투자, 지사 등 적합한 진출 전략을 수립해 빠르게 해외 진출
ㅇ 최근 현황 - 급증하는 대중매체 및 오락 콘텐츠 수요에 힘입어 현재 1,300여 개의 가맹점을 2020년까지 2,500개로 늘리기로 발표 |
□ 디지털 교육 확대
ㅇ 인도의 교육 전 분야에서 가장 두드러지고 있는 현상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이러닝으로 인도 IBEF와 KPMG에 따르면 인도의 온라인 교육 시장은 미국에 이어 세계 2번 째 규모임. 2021년에는 1960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인도 온라인 교육 시장 전망
자료: KPMG
- 이에 따라 기존 학원 프랜차이즈 업계 역시 이러닝·에드테크 기술에 대한 투자를 추진 중임. 이에 대항해 에드테크 스타트업 역시 프랜차이즈 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오프라인 러닝센터를 확장 중
- 인도 에드테크 기업 중 ByJu’s는 온라인 학습 시장에 진입해 2018년 중 총 기업가치 10억 달러를 상회하는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함. 해당 기업 역시 프랜차이즈 모델을 활용해 오프라인 강습소를 인도 전국으로 확대 중
※ 에드테크 기업 성공사례: ByJu’s
자료: BYJU’s
ㅇ 2011년 창업자 Byju Raveendran, Think and Learn Pvt. Ltd 창업 - K12 분야에 집중한 학습 콘텐츠 제작, 2015년 6~12학년 학생 대상 교육 콘텐츠를 담은 Byju’s Learning App을 출시함. 주된 포커스는 수학과 과학 과목으로 개별화된 학습지도 프로그램을 운용
ㅇ 2016년 아시아 기업 최초로 Chan-Zuckerburg Initiative로부터 투자 유치(5000만 달러), 이후 텐센트, 세코야 캐피탈 등으로부터 투자를 지속 유치
ㅇ 2018년 시장가치 10억 달러를 상회하는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해 에드테크는 기업으로써는 세계 최고의 가치를 보유 |
□ 인도 교육시장 관련 유의 사항
ㅇ 인도 정부는 2002년부터 100% 외국인투자를 허용하는 등 교육 부문을 전면적으로 개방했으나 정규교육 분야로의 외국인 투자는 거의 전무
- 그 이유는 인도의 법률상 교육기관 운영은 비영리적인 목적의 Society·Trust 또는 2013년 회사법(Companies Act, 2013) 상의 8조 회사(Section 8 Company)만 가능하기 때문으로 투자를 위한 정부 허가를 받더라도 이익을 내고 이를 본국으로 송금하는 것이 불가함.
· 8조 회사(Section 8 Company)의 경우 이익이 발생할 경우 설립 목적의 증진을 위한 전액 소진 의무화
- 인도의 교육제도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규제를 동시에 받음으로 인해 규정이 복잡해지고 규제 준수 비용을 야기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
인도 정규학교 교과 인증 기구
자료: CARE Rating
ㅇ 이 같은 점을 고려할 경우 정규교육 부문 내 프랜차이즈 모델이 활발하게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외국기업의 진입가능 분야는 유아원 또는 사설학원 분야에 국한됨.
- 우리나라에서는 이투스, 눈높이 교육(대교), 재능교육 등이 프랜차이즈 모델을 활용해 인도시장 진출 추진 중
ㅇ 전문가 및 현지 관계자 인터뷰
- 인도 사설 교육학원 운영자(비공개 요청): 인도의 교육열은 굉장히 높은 편으로 저소득 계급의 경우에도 자녀 교육에 소득 대부분을 투자하는 일도 흔하게 볼 수 있음. 인도의 교육 시스템 역시 학문적인 발전보다는 취업을 위한 발판으로써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도 유사한 면이 있음. 특히 대학 입시를 둘러싼 사교육과 부정행위 등은 한국을 많이 연상시킴. 인도에서의 외국인의 교육 사업의 경우, 생각보다 많은 제약이 존재하고 있으며 각종 교육 관련 인허가 이외에도 높은 세금(18% GST)과 복잡한 세무 제도 역시 걸림돌이 됨. 하지만 관련 수요가 끊임없이 증가하고 있으며 인도인 뿐만 아니라 해외투자기업 직원들의 자녀 등 외국인의 현지 교육 수요 역시 일부 도시에서는 무시할 수 없음.
□ 시사점
ㅇ 시장조사전문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 교육시장은 매년 연평균 약 14% 이상의 성장을 이어나갈 것으로 전망
인도 교육시장 규모(2019-2024)
(단위: US$ 백만)
자료: Euromonitor
ㅇ 인도의 경우 높은 교육열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Secondary Education까지 마치는 학생의 비율은 학생 인구 대비 1/3에 불과함. 이들은 대부분 저가 사설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음. 하지만 최근 대두되는 정부의 디지털 교육정책과 사설 온라인 교육 업체의 등장은 이러한 양상을 변화 시키며 저렴한 가격에 많은 학생을 교육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있음.
ㅇ 향후 저렴한 가격의 디지털기기 보급 확산은 특히 저소득층의 교육 시장 형성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이며 한계비용이 낮은 온라인 교육 특성에 따라 투자대비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됨.
ㅇ 다만, 인도의 경우 외국 기업에 대한 다양한 규제와 복잡한 현지 규정, 세법 등으로 면밀한 검토 없는 진출은 위험하며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인도 로컬 플레이어와의 경쟁 역시 사전에 대비 할 수 있어야 함.
자료: IBEF, Euromonitor, CARE Rating, 인도 통계청, KPMG, Moneycontrol, Franchise India, Aptech, 현지언론, KOTRA 첸나이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인도 비즈니스 환경 분석 > 인도 교육 산업 & 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 코로나19가 불러온 온라인 교육 열풍 2020-06-30 (0) | 2021.04.19 |
---|---|
코로나19가 인도 교육산업에 미치는 영향 2020-06-30 (0) | 2021.04.19 |
디지털로 변화하는 인도의 교육산업 2020-12-16 (0) | 2021.04.19 |
인도의 새로운 국가교육정책(National Education Policy)과 그 영향 2020-09-29 (0) | 2021.04.19 |
인도도 이제 ‘인강’ 열풍 … 교육시장의 새바람 2020-11-09 (0) | 2021.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