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카테고리 분류 207

인도에서의 USD 등 외화 차입 방안 소개

[전문가 기고] 인도에서의 USD 등 외화 차입 방안 소개 2017-12-18 인도 뭄바이무역관 오현승 - ECB(External Commercial Borrowings) 규정을 중심으로 - 최웅수 한국산업은행 (State Bank of India 파견) 차장 인도, 투자유치 규제완화로 약430억 달러(‘16.4.~‘17.3. 회계연도) 규모의 투자유치(FDI) 실현 인도 정부는 방위, 소매유통, 제약 등 산업을 대상으로 대폭적인 투자유치 규제를 완화하는 등 외국기업 투자 유치에 전력을 질주하고 있다. 특히 인도 정부의 복잡한 행정, 부패 등이 문제시되어 왔으나 정부에서는 행정절차 간소화는 물론 강력한 개혁과 조세의 투명성을 제고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포스트 차이나로 떠오르고 있는 성장 가능성..

인도 IT 산업 전망

□ 코로나19로 인한 국내 및 세계 경제 악화로 IT 업계 또한 단기적으로는 저성장이 우려되는 상황이나, IT 서비스 부문은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로 향후 지속적인 성장세가 기대됨. 이에 따라 2021~2024년의 기간 동안 인도 IT 산업은 연간 6.5%의 상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 ㅇ 인구 증가 및 낮은 IT 서비스 보급률은 성장을 위한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FDI 확대를 위한 정부의 IT 부문 규제 개혁과 통신 인프라, 국내 IT 제조업체에 대한 투자 등 정부의 IT 부문 개혁 의지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강점 (Strength) 약점 (Weakness) 인도 정부는 IT 서비스의 주요 유저로서 e-정부화 및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지출 비용을 확대 민간 기업의 클..

인도 산업 개관

2020-12-18 인도 뉴델리무역관 -농업에서 제조, 서비스 산업으로 점진적 변화 노력- -자주인도(Self-reliant India) 정책을 통해 투자유치 및 제조 장려-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를 위해 노력- □ 산업 구조 및 동향 ◦ 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 노력 - 인도 정부는 2014년 Make in India 정책을 통해, 제조업을 적극 육성하여 2022년까지 제조업 GDP 기여율 25%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제조업 기여도는 크게 상승하지 않고 있음 - 이에 따라 모디 총리는 제조업을 적극 장려하기 위한 自主인도(Self-reliant India)정책과 함께, 제조업 인센티브(production linked incentive, PLI)를 발표하고, 10월에는 글로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