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비즈니스 환경 분석

인도 산업 개관

InKonnect 2021. 1. 28. 22:04
SMALL

2020-12-18 인도 뉴델리무역관 

-농업에서 제조, 서비스 산업으로 점진적 변화 노력-

-자주인도(Self-reliant India) 정책을 통해 투자유치 및 제조 장려-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공급망 다각화를 위해 노력-

 

 산업 구조 및 동향

 

  ◦ 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 노력

    - 인도 정부는 2014 Make in India 정책을 통해, 제조업을 적극 육성하여 2022년까지 제조업 GDP 기여율 25%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제조업 기여도는 크게 상승하지 않고 있음

    - 이에 따라 모디 총리는 제조업을 적극 장려하기 위한  自主인도(Self-reliant India)정책과 함께, 제조업 인센티브(production linked incentive, PLI)를 발표하고, 10월에는 글로벌기업들의 인도 내 스마트폰 제조에 4,200억 루피(한화 약 6 3,213억 원)규모의 인센티브 지원 결정.  

    - 2020년 11월, 시장조사업체 McKinsey은 최근 인도의 제조업 GVC 강화 노력으로 인해 인도 제조업의 GDP 기여율이 향후 수년 내 현재 대비 2배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코로나 여파로 글로벌 공급망이 붕괴되고 있으나, 인도는 거대한 소비자 규모와 기술요인 등으로 공급망 재편에 성공할 가능성이 높으며, 관련 규모는 약 3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 농업 비중이 감소하며 서비스업의 GDP 기여율 증가

    - 1991년 경제개방 당시 30%에 달했던 농업의 GDP 기여율은 현재 10% 후반으로 가파르게 감소하였으며, 농업의 감소분이 서비스 부문의 확대로 이어짐

    - IBEF에 따르면, 서비스산업은 2015/16 회계연도 이후 2019/20 회계연도까지 연평균 1.45%씩 성장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1 648억 달러에 이름.

    - 2020 11월, 델리 정부는 신규 산업단지 내에 서비스 및 첨단기술 산업 운영만을 허용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첨단기술 및 서비스 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기대

 

인도의 산업구조(총부가가치생산(GVA) 기준)

(단위: %)

산업분야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농 업

17.7

18.0

18.0

17.1

17.8

광 업

2.3

2.3

2.3

2.3

2.1

제조업

17.1

16.7

16.4

16.1

15.1

유틸리티

2.7

2.5

2.7

2.7

2.7

건 설

7.9

7.7

7.7

7.8

7.5

서비스업

52.3

52.6

52.8

54.0

54.8

자료 : Office of Economic Adviser(2020.9)

 

  ◦ 8대 핵심 산업군과 투자유치 타겟 산업

    - 인도정부는 석탄, 원유, 천연가스, 화학, 비료, , 시멘트, 전력 등의 산업분야를 8대 핵심 산업군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총 산업생산에 대한 기여율은 40% 안팎임.

    - 주력 산업으로 자동차, 화학, 전기전자, 섬유 등이 있으며, 자동차와 전기전자의 경우 투자유치 기반의 주력 육성산업임.

    - 최근 인도정부는 전력 중공업 헬스케어 식품가공 전기전자·IT 화학 항공우주·방산 물류 서비스 피혁 등 10대 타겟 산업군의 주요 글로벌 기업을 접촉, 투자유치 활동 적극 전개중

 

  ◦ 저조한 2020 4-6월 경제성장률에도 불구, 향후 경제 개선 전망

    - 코로나19로 인한 봉쇄가 시작된 3월 이후 주요 경제활동이 전면 중단되면서, 인도 1분기(4-6) 경제성장률은 23.9%, 분기 발표가 시작된 1996년 이후 최저치 기록.

    - 그러나 봉쇄가 완화된 이후 경기 회복세로 돌아서며 지난 9월 인도 산업생산지수(IIP), 서비스 구매관리지수(PMI) 6개월 만에 처음으로 플러스 성장하였고, 제조업PMI 13년 만에 최고치.

   - McKinsey의 11월 설문조사에 따르면, 인도의 조사 참여자 중 약 58% 2-3개월 내,  90% 이상은 향후 1년 이내 인도 경제가 회복할 것으로 예상하는 등 수개월 전보다 낙관적으로 변화. 보고서는 이러한 소비심리 회복으로 소비 지출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

    - 서비스, 제조분야를 중심으로 한 인도 경제 회복 소식에, 일부 금융기관들이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치 상향조정

 

인도 경제성장률 전망치

(단위 : %)

금융기관

2020

2021

기존 전망치

변동치

기존 전망치

변동치

IMF

10.3

-

8.8

-

World Bank

9.6

-

4.5

-

Moody’s

9.6

8.9

8.1

8.6

S&P

9.0

-

10.0

-

Goldman Sachs

14.8

10.3

9.9

13.0

Fitch

10.5

-

11.0

-

자료 : 각 사 홈페이지 종합(’20.11.20)

 

인도 최근 5개년 주요경제지표

(단위 : 십억 달러(명목 GDP, PPP, 해외직접투자), 달러(1인당 명목 GDP, 환율), %(실질성장률)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명목 GDP

2,104

2,290

2,652

2,719

2,900

1인당 명목 GDP

1,640

1,762

2,014

2,038

2,139

실질성장률

8.0

7.1

8.1

6.8

4.2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

6,260

6,752

7,277

7,859

8,378

해외직접투자

44.1

44.5

39.9

42.2

50.6

환율

64.2

67.2

65.1

68.4

74.9

자료 : IMF(’20.10, 명목 GDP, 1인당 명목 GDP), 세계은행(PPP), UNCTAD(해외직접투자), 인도 중앙은행(실질성장률, 환율)

 

□ 수급 관련 규제

 

  ◦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무역구제 조치를 하는 국가

    - WTO에 의하면, 2019 12월 기준 인도는 반덤핑 252, 세이프가드 1(전세계 대상), 상계관세 7건을 부과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반덤핑 조치 시행

    - 2019년 신규 조사 개시 건수가 78건을 기록한 반면, 2020 8월 누적 기준은 63건으로, 2020 12월에는 총 조사개시 건수가 작년을 능가할 것으로 전망

    - 무역구제 대상국가는 WTO(20.6) 기준으로 중국(112), 한국(33), 태국(27), 대만(21), 미국(14) 순이며, 품목별로는 화학(115), 철강금속(59), 플라스틱(39), 섬유(29) 등으로 인도의 주력산업에 규제 집중

    - 특히, 인도정부의 한국산 무역구제 신규 조사 건수 지속 증가

     * ’20 9월 조사개시 건수, 중국의 11건에 이어 한국 3건 기록(그 외 개시국은 1)

 

인도의 세계 무역구제 현황

구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반덤핑

212

213

232

260

273

275

252

상계

-

-

-

1

2

2

7

세이프가드

2

4

3

5

1

1

1

합계

214

217

235

266

276

278

260

자료 : WTO

 

  ◦ 인도정부, 한국을 포함 다양한 관세비관세 장벽 조치

 

2020년 하반기 인도의 FTA 체결국 중심 관세·비관세장벽 조치 현황

구분

주요 조치 내용

수입규제

2020 6월 타이어 수입규제를 시행,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외국산 타이어 수입 금지 

2020 7 TV 수입규제의 경우, 연내 조건부 허가에 그쳐, '21년부터는 수입 애로 예상

2020 10, 에어컨 수입 금지

무역구제

2020 10월 기준, 한국을 대상으로 조치 진행 중인 건은 화학 16, 철강 10, 플라스틱·고무 5, 전자 3, 섬유 2건 등 총 36

▪ 2020년 10월 기준 한국산 관련 신규조사 개시 건수는 7, 최종 판결은 13

인증강화

인증품목 수출 시 11 1일부터 이메일로 관련 정보를 별도 송부하도록 고시(10.22)

* 관련 정보로는 인증번호, 화물정보, 도착항, 도착예정 일시 등을 요구

동 내역은 수출 물품 중 샘플링 랜덤 검사에 활용될 예정

원산지 검증 강화

 원산지 검증 시 특혜관세 부여보다는 은행 보증을 먼저 요구하는 경우 발생

 9월부터 추가로 요구하는 원산지 검증 서류 외, 수입자에게 모든 원재료의 거래증빙 내역과 입출고 내역 요구

* 수출자가 원재료를 협력업체를 통해 조달하는 경우 동 증빙 제출 애로

▪ 일부 인도 세관의 경우 대한상공회의소 발급 원산지 증명서를 미인정하고 한국세관의 원산지 증명서만을 요구

기타

 철강수입모니터링시스템(Steel Import Monitoring System, SIMS) 대상 확대(‘20.9)

* 기존 HS코드 제 72, 73류 및 86류 중 일부 284개 품목에서, 동일 코드 내 530개 품목을 추가하여 약 810여 개 전체로 확대하고, 10.16부터 SIMS 등록 의무화

자료원 : 정부 자료 및 무역관 조사 자료 종합

 

□ 진출 유망 산업

 

  ◦ IT 산업

    - 인도 IT산업은 IT(Information Technology)  ITeS(IT enabled Services)로 구분되며, 1991년 경제개방 이후 서구국가들의 IT관련 서비스를 아웃소싱하며 발전

    - IBEF에 따르면 인도의 IT 시장규모는 2019-20 회계연도 기준 1,910억 달러이며, 2025년까지 3,5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을 기대

 

  ◦ 자동차 산업

    - 세계자동차공업연합회(Organization Internationale des Constructeurs d' Automobile, OICA)에 의하면, 2019년 기준 인도의 자동차 생산량은 451만대이며 이는 중국, 미국, 일본에 이은 세계 4

     * (세계 총생산) 9,178만대, (중국) 2,572만대, (미국)1,088만대, (일본)968만대, (한국) 395만대

    - 인도자동차공업협회(SIAM)에 따르면, 글로벌 교역 둔화에 따른 경기 침체로 2019/2020 회계연도기간 동안 인도 내 차량 생산 및 판매량은 2,636만대, 2,155만대로, 각각 전년 대비 15%, 18% 감소

    - 그러나 10월 기준 총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하면서 8월 이후 지속적인 증가세 기록 중 (8 14.1%, 9 26.5%)

 

  ◦ 스마트폰 산업

    - IDC(2020)에 따르면, 2019년 전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2% 감소한 13.9억대를 기록했으나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은 1.52억 대로 전년대비 8.0% 증가

    - 시장조사업체 Counter point research에 따르면, 2020 3분기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은 5,300만 대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하였으며, 동 출하량은 분기 기준 사상 최대 기록으로 코로나19로 억눌렸던 소비 심리가 회복되고 있다는 방증.

     * 동 분기 기준, 삼성전자가 24%의 점유율로 Xiaomi(23%)를 제치고 1위를 기록

  

  ◦ 철강 산업

    - IBEF에 따르면, 2019년 인도의 철강 생산량은 111.2MT이며, 인도는 조강 생산량 기준 세계 2위 국가

    - 인도정부(2017) 2030-31 회계연도까지 현재 61kg 1인당 철강 소비량을 160kg(세계평균: 208kg)까지 확대하고 생산능력을 300MT까지 확충하겠다고 발표

    - , 봉쇄 기간 동안 철강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인도 철강협회(Indian Steel Association, ISA) 2020년 연간 철강수요를 전년 대비 7.7% 감소한 9,370만 톤으로 하향 조정했으며, 인도 신용등급 평가기관(ICRA)은 전년 대비 20% 감소할 것으로 전망

    - 그러나 봉쇄 조치 이후 농촌지역에서 철강 수요가 급증했으며, 업계 2위인 JSW Steel에 따르면 7~9월 철강 수요가 4~6월 수요 대비 2배 증가. 특히 소매 판매량은 117%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하는 등 예상했던 기간보다 빠른 속도로 경제가 회복되고 있음

 

  ◦ 화학 산업

    - Invest India에 따르면, 인도의 화학제품 생산량은 아시아 3, 세계 6위 수준이며 특히 염료분야에서는 세계 시장점유율 16% 차지

    - 인도화학협회(Indian Chemical Council, ICC)는 현재 1,500억 달러 규모의 화학산업을 2025년까지 3,000억 달러까지 확대, 발전시킬 계획

    - 인프라 프로젝트 확대로 건설용 화학자재 또한 주목받고 있는 추세이며, 시장조사업체(PMR)에 따르면 건설화학자재 산업 규모는 2019년 기준 60억 달러 규모로, 2023년까지 매년 15%의 성장률을 예상

 

  ◦ 제약 산업

    - 인도는 제네릭 의약품 분야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20%를 점유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제네릭 의약품을 가장 많이 공급하는 국가. 글로벌 백신수요의 50%이상이 생산되며, 미국과 영국의 제네릭 의약품 수요의 40%, 25%를 담당

    - 2019년 기준 200.3억 달러의 규모였으나, 2025년까지 연간 30%의 성장률과 함께 1,000억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예상되며, 의료기기가 250억 달러 규모의 시장으로 예상되는 것에 비해 4배가량 높은 수치

    - 특히 제약분야 외국인투자(FDI)는 정부 별도 승인없이 자동경로로 지분율 100%가  허용되며, 정부의 제약분야 PLI 정책으로 제약산업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

 

 산업 육성정책

 

  ◦ 인프라 개발 계획(National Infrastructure Pipeline, NIP) 지속 추진

 

- 정부는 기업투자 촉진과 소비심리 확대를 위해, 自主인도(Self-reliant India)를 강조하며 204/25 회계연도까지 1 5,000억 달러 규모의 산업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진행 중

- 주요 프로젝트로는 고속도로 확충 (450억 달러), 농촌 인프라 강화(140억 달러), 인프라 프로젝트 펀드 지원 (100억 달러), 도로·항만·공항 등 교통·운송 인프라 구축(140억 달러) 등이 있음

- 2020 10월 추가 경기부양책을 통해 전국 인프라(도로·상수도 등) 개선 및 국방사업(34억 달러)을 추진하고,  인프라 확충(16억 달러) 사업 확대

  

  ◦ 수출 보조제도를 통해 인도내 생산 및 수출 장려

    - 인도는 제조품 수출 촉진을 위해 철강, 의약, 화학, IT, 섬유, 의류 등 총 5,012개 품목을 대상으로 수출금액의 2-3%를 세금면제 혜택을 주는 상품수출제도 (Merchandise Exports from India Scheme, MEIS)를 시행하여 왔음

    - 하지만 해당 정책이 WTO 규정 위반으로 판정이 난 이후, 이를 신규 지원제도인 수출품세금감면제도 (Remission of Duties or Taxes on Export Products: RoDTEP)로 대체 예정. 기존 MEIS 2020.12.31.까지 유효하며, 신규 제도는 2021.1.1.부로 적용

    - RoDTEP 제도는 기존 MEIS 대상 품목을 우선으로 하되, 모든 산업군을 대상으로 적용되며, 수출품 제조에 사용되는 투입요소(원자재/부분품 등)에 대해 간접세 환급

 

  ◦  自主인도(Self-reliant India)를 통해 제조업 육성에 집중

    - 모디 정부는 Make in India 정책에 이어, 인도 내 제조시설을 확대하고 스스로 생산하는 Make in India 2.0 버전인  自主인도(Self-reliant India) 정책 발표

    - 2016년부터 단계별 제조업 육성 정책(Phased Manufacturing Program, PMP)을 통해 제조 시스템 강화 및 내수 가치 향상 노력

    - 경제, 인프라, 시스템, 수요, 인구 다섯 가지 항목을 중심으로인도 내 제조를 발전시키려는 계획

 

Self-reliant India 주요 정책 분야

자료 : IBEF참고, KOTRA뉴델리 무역관 재편집

 

  ◦ 제조 인센티브를 통한 글로벌 공급망 대체 기지 구현

    -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투자유치 및 현지 생산을 장려하여, 인도를 중국을 대체하는 세계의 공급망 기지로 구현

    - 인도 내 제조 장려를 위해 3, 4월 의약품, 전자기기 분야에 각각 1,000억 루피(한화 약 1 5천억 원), 5,000억 루피(한화 약 7 5천억 원) 규모의 인센티브가 승인되었으며, 삼성, Foxconn 16개 제조기업이 신청

    - 배터리 제조·자동차부품·네트워크 장비·섬유·식품가공 등 다양한 산업군으로 대상 범위를 넓힐 계획

 

향후 5년간 추가 인센티브 제공 계획

(단위 백만 루피, 백만 달러)

연번

분야

금액

연번

분야

금액

1

배터리

RS 181,000 / USD 2,353

6

섬유

RS 106,830 / USD 1,389

2

전기전자

RS 50,000 / USD 650

7

식품

RS 109,000 / USD 1,417

3

자동차,부품

RS 570,420 / USD 7,415

8

태양광

RS 45,000 / USD 585

4

제약

RS 150,000 / USD 1,950

9

가전

RS 62,380 / USD 811

5

통신

RS 121,950 / USD 1,585

10

특수강

RS 63,220/ USD 18,977

자료: 중앙정부 자료 재정리

 

 

 

자료: IBEF, IMF, WTO, 인도 중앙은행, World Bank, OICA, Invest India, 현지 언론(The Economic Times), 대외무역구제국, 무역협회, 인도 상공부, KOTRA 뉴델리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LIST